반응형

 

제목   국화와 칼

원제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저자   루스 베네딕트

역자   김윤식, 오인석

초판   1946년


 

우리는 수치에 수반되는 극심한 개인적 통한을 도덕의 기본 체계를 이루는 원동력으로 보지 않는다. 그러나 일본인은 치욕을 원동력으로 하고 있다. 분명히 정해진 선행의 도표에 따를 수 없는 것, 여러 의무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 발생할 우연을 예견할 수가 없는 것 등이 치욕이다. 그들은 수치는 덕의 근본이라고 말한다. 수치를 느끼기 쉬운 사람이야말로 선행의 모든 율법을 실행하는 사람이다.

 

 

  일본은 우리에게 지리적으로는 가깝지만 감정적으로는 가장 먼 나라라 할 수 있는 나라입니다. 과거 전쟁범죄에 대한 제대로 된 사과 표명을 하지 않아 역사적인 앙금이 남아있는 점이 클 테고, 여행과 다양한 교류를 통해 문화적으로 익숙해졌다 하더라도 문화, 정서적인 차이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겉과 속이 다르다거나 속내를 알 수 없다는 등의 이중성이 언급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같은 동아시아권이자 이웃에 살고 있는 우리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서양인들과의 차이는 말할 것도 없을 것입니다.

 

  과거 2차 대전 당시 일본과 전쟁을 하고있던 미국은 이러한 문화 차이로 일본인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고, 1944년 미국 정부는 저자인 루스 베네딕트에게 일본 문화에 대한 분석을 의뢰하게 되어 이 책의 집필이 시작됩니다. 문제는 저자가 일본 전문가가 아니었는 데다 전쟁 중인 적국을 방문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일본 문화에 대한 조사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인류학자인 저자는 이러한 장애물들을 오히려 일본 문화에 대해 편견 없이 접근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합니다.

  저자는 보편적으로 형성되어 일본인들의 특성을 매우 깊이있게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막부 시대부터 메이지유신, 그리고 태평양 전쟁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조명하고 의리, 의무, 도덕 등 다소 동양적인 관념이 어떤 형태로 심리 저변에 형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보여줍니다. 언뜻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개념과 비슷해 보이지만 저자의 설명과 함께 자세히 들여다보면 상당히 다른 부분이 많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일본을 이해하기 위한 특성으로 은혜(온)에 대한 부채감, 의리(기리)에 대한 독특한 인식, 타인에 맞춰진 인식 등을 소개합니다. 은혜에 대한 부분에서 세상, 조상, 부모 등에 대한 은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우리나라와 비슷해보이지만 일본의 특이점은 이러한 은혜 중 가장 큰 은혜는 그들의 영주, 주군이 대상이었고 메이지유신을 거치며 천황으로 대상이 옮겨가며 전쟁에서 보여줬던 맹목적인 충성에 대한 기반이 됩니다. 의리에 대한 설명은 특히나 일본만의 특수한 성격이라 느껴졌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 보편적으로는 모욕을 당했다해서 복수를 하는 것이 의무이자 덕이라 여기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본인들은 모욕을 준 대상에 대한 복수를 덕목으로 여기며 대상에 대해 보복을 하거나 그 대상을 제거해야만 자신의 오명을 씻을 수 있다 여겨왔습니다. 이러한 수치에 민감한 그들의 특성으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 각종 예의범절과 친절이 생활에 배어있게 되었고, 외부에서 일본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습니다.

 

좋든 싫든 앞으로도 이웃으로 부대끼고 살아야 하는 일본이기에 이들의 성향과 문화에 대한 이해는 우리나라에 있어 중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100년 전이 다 되어가는 연구이기에 이 책의 액면 그대로 현재의 일본에 적용될 수는 없겠지만 그들 심리의 근원에 대한 이해를 하는 데 있어 여전히 중요하며 유효한 작품으로 생각됩니다. 현재의 동맹국으로서 원활한 외교를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언제 돌변할지 모를 그들의 속내를 항상 경계하기 위해서라도 이러한 연구의 중요성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